도심 항공 모빌리티Urban Air Mobility
우리 삶을 바꿀 차세대 교통체계를 제공합니다.
한화시스템은 도심항공 모빌리티 시장의 글로벌 토탈 솔루션 공급 업체로 고객들에게 가장 안전하고 편리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는 지상과 항공을 연결하는 3차원 도심 항공 교통체계로, 도심 상공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차세대 교통체계 입니다. 배터리, 모터 기술의 발전과 충돌회피, 자율비행 등 첨단 기술의 등장으로 개인항공기(PAV)는 미래의 새로운 운송수단으로
우리의 삶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화시스템은 고도화된 항공전자 및 ICT 기술력을 융합해 신개념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Global UAM Solution Provider
안전한 기체, 편리한 인프라로 최적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한화시스템은 미래형 모빌리티 기체 개발 뿐만 아니라 서비스와 인프라 등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토탈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
전방위적인 사업기회를
발굴해 나가고 있습니다. UAM 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글로벌 UAM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는 것이 한화시스템의 비전
입니다.
Urban Air Mobility
-
- Technology
-
기체/부품
-
MRO
-
- Infrastructure
-
관제/항행안전
-
이착륙시설
-
- Service
-
운항서비스
-
연계 플랫폼
Technology
-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기체
- 한화시스템의 버터플라이는 센서·레이다·항공전자 기술과 오버에어만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기술인 ‘에너지 절감 비행기술’등이 적용됩니다.
전기식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타입으로 큰 로터 4개와 각 블래이드 제어를 통해 고성능, 고효율, 안정성, 저소음의 성능을 구현합니다.
-
- 고성능·고효율
-
Vectored Thrust 방식으로 수직 이착륙과
순항 시에도 고성능·고효율 구현
-
- 높은 안정성
-
4개 동일한 로터를 전후방 날개에 배치해
1개 고장 시에도 이착륙 가능
-
- 저소음
-
로터의 회전수와 개별 로터 날개의
최적제어기술 및 제조 기술 특허(OSTR)로 헬기보다 15dB 낮은 소음
- Vectored Thrust: 로터가 수직, 수평으로 방향을 전환해 운행하는 구조로 효율성 및 기술 난이도가 가장 높은 기술
- OSTR(Optimum Speed Tilt Rotor) : 로터 회전수 및 방향 제어하여 기체 최적 성능을 구현하는 기술
Key Technology
- 저소음 고효율의 최적속도 로터(Tilt Rotor) 기술
- 기존 헬리콥터와 달리 대형 로터 4개가 전방과 후방 날개에 장착돼 있어, 이륙할 때는 수직으로 운항할 때는 방향을 바꿔 수평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적은 에너지로 장시간 운항이 가능해 높은 에너지 효율과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Advantages
Infrastructure
정부와 함께하는 표준 인프라
생활 교통의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도록 사회기반시설을 구축합니다.

- 공항터미널 시설 버티허브(Verti-hub) 구축 협력
Service
미래 모빌리티 통합 서비스
도심 상공 관제 솔루션, 기존 교통체계 연동 시스템, 이착륙장 구축, 운항 서비스 등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UAM-Team Korea 협력을 통한 UAM 운항사업 선도
Road Map
-
- 2019
- 07월 : 국내 최초 UAM 시장 진출 발표
-
- 2020
- 02월 : 미국 Overair社와 함께 에어택시 '버터플라이(Butterfly)' 공동 개발 본격 착수
- 06월 : 국토부 주관 'UAM 팀 코리아' 업계 대표로 선정
- 11월 : 한국공항공사와 김포공항 버티허브(verti-hub) 구축 청사진 공개
-
- 2021
- 01월 : 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SKT
·한국교통연구원 4社, 기체- 버티포트-서비스 'UAM 밸류체인' 구축 협약(MOU) - 05월 : 英UAM 인프라 전문 기업 스카이포츠(Skyports)와 인프라 개발 협약(MOU) 체결
- 12월 : 세계 최대 헬리콥터 운영업체 영국 Bristow社, 버터플라이 20~50대 물량 선구매 협약(Overair社)
-
- 2022
- 상반기 : 추진시스템 지상시험 완료
-
- 2023
- 시험용 시제기 제작 및 비행 시험 진행
-
- 2024
- 인증기체 비행시험
-
- 2025
- FAA TC(형식증명), PC(제작증명) 획득
- 서울-김포노선 시험 운행 시작
-
- 2026
- 상용화 서비스
-
운항서비스
/관제- UATM 기반의 도심 항공 교통체계 구축
-
- 도심 환경에 부합하는 통신, 항법, 보안 시스템 적용
- 기존 관제체계(ATM)와 연계한 항행안전 시스템 개발
-
이착륙 시설
- 승객탑승 및 환승을 위한 이·착륙장 구축
-
- 탑승자 편의시설(주차, 쇼핑 등) 연계성
- 이·착륙을 위한 Vertihub, Vertiport 구축
-
운영유지
- 사용자 만족을 위한 운영유지 시스템 개발
-
- 개발단계 운영유지비용 최소화를 위한 설계
- 실시간 기체 헬스 모니터링 및 상태 정보 제공
-
기체개발
-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
-
- 고효율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적용한 저소음 기체 개발
- 분산전기추진시스템을 적용해 기체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 고도화된 자동비행시스템을 적용하여 운용 편의성 증대
- FAA 인증절차에 따라 개발단계부터 생산까지 철저한 검증
-
연계 플랫폼
-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
-
- 도심항공교통 체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에어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 흐름의 단절이 없는 교통 연계체계 기술 개발
- 도심항공교통 체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에어모빌리티
-
운항서비스
/관제- UATM 기반의 도심 항공 교통체계 구축
-
- 도심 환경에 부합하는 통신, 항법, 보안 시스템 적용
- 기존 관제체계(ATM)와 연계한 항행안전 시스템 개발
-
이착륙 시설
- 승객탑승 및 환승을 위한 이·착륙장 구축
-
- 탑승자 편의시설(주차, 쇼핑 등) 연계성
- 이·착륙을 위한 Vertihub, Vertiport 구축
-
운영유지
- 사용자 만족을 위한 운영유지 시스템 개발
-
- 개발단계 운영유지비용 최소화를 위한 설계
- 실시간 기체 헬스 모니터링 및 상태 정보 제공
-
기체개발
- 전기 수직이착륙기(e-VTOL) 개발
-
- 고효율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적용한 저소음 기체 개발
- 분산전기추진시스템을 적용해 기체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 고도화된 자동비행시스템을 적용하여 운용 편의성 증대
- FAA 인증절차에 따라 개발단계부터 생산까지 철저한 검증
-
연계 플랫폼
-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
-
- 도심항공교통 체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에어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 흐름의 단절이 없는 교통 연계체계 기술 개발
- 도심항공교통 체계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에어모빌리티